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춘천 바위산 858m 바위산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하는 것을 막는 여염집 아낙처럼 찾아가기가 약간 번거롭다. 다른 산에 갈 때처럼 차나 기차를 이용해 근처까지 가도 소양댐 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더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마치 그 물을 건너야 자신을 만날 자격이 있다는 것처럼 이 산은 저 멀리 서있다.춘천 바위산 등산지도 더보기 원적산(천덕봉) 634m 개 요 : 원적산은 이천시 신둔면과 백사면에 걸쳐있는 해발 634m(주봉 : 천덕봉)로 이천시에서는 제일 높은 산이다. 동으로는 여주군, 서로는 광주군과 각각 경계를 이루고 있고, 동서로 길게 이어져 그 중간을 넙고개가 가로 지르고 있다. 고려 말 공민왕이 난을 피해 이곳에 머물렀다는 전설이 있으며, 신라 27대 선덕여왕 7년 에 창간했다는 영원사라는 유서깊은 사찰이 있다. 이 산의 명소로는 주봉인 천덕봉 기슭 에 낙수제라는 폭포가 있으며, 이천시 백사면의 도립리와 경사리, 송말리 등에는 매년 4월이 되면 산수유꽃이 만발하고, 11월에는 선홍색 산수유 열매가 그 윤기를 발하여 이 아름다운 정경을 화폭에 담으려는 화가들과 가족 관광객들이 많이 찾고 있다. 이천 산수유의 아름다움을 즐기려면 이천 시내에서 이.. 더보기 서울의 알프스 - 신비의 북한산 설경 서울에 23일 내린 비가 북한산에는 눈으로 내린모양입니다. 볼일로 외각순환도로를 운전 하더중 만난 북한산은 환희, 신비 그 자체였습니다. 동서로 이어진 북한산 주능선의 모습은 어느 알프스 모습 못지않게 장엄하고 황홀 하였습니다. 날씨도 또한, 바람은 있었으나 청명하고 간간이 .. 더보기 춘분에 보는 한계령 주변과 설악 서북능선의 대청봉 한계령에서본 점봉산 방향. 한계령 휴계소 위의 상고대 모습 흘림골 입구 흘림골 여심폭포 등선대에서본 대관령 방향 흘림골 만물상계곡 주전골 가는길 등선대에서본 귀때기 청봉 (우측 멀리 보이는 끝산) 등선대에서본 설악 서북능선과 대청봉 (우측끝), 끝청봉 (우측에서 두번째) 귀때.. 더보기 남한산성 조각공원 더보기 남한산성 - 산성의 아름다움 더보기 백마산 - 태화산 경기도 광주와 용인 7개산 종주(약 20.5Km)/7시간 30분 예상. 태화산(642m)-마구산(595)-정광산(563)-노고봉(578)-발리봉(489)-용마봉(502.9)-백마산(464). ㅡ들머리ㅡ 용인시 처인구 금어리 어래실 70번 시내버스 종점. 용인터미널발-어래실착 06:20/07:20/ 08:20/09:40/10:50/12:00/13:10/14:20/15:30/16:40/17:50/19:00/20:10/21:20. 어래실발-용인터미널착 06:40/07:40/08:45/10:05/11:15/12:25/13:35/14:45/15:55/17:05/18:15/19:25/20:35/21:45 서울에서 출발할 경우 강변역 1117번 버스...광주 오포 양벌리 하차후 개념도 방향으로 진행 -날머리- 광주시.. 더보기 유명산 (마유산) 유명산 (마유산) : 해발 864m.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 양평군 옥천면 유명산은 산 이름으로 널리 유명해진 산입니다. 원래 지형도 상에는 산 이름이 없었던 것을 1973년 엠포르산악회가 국토 자 오선 종주 등산 중 이산에 이르자 당시 일행중 홍일점 이었던 진유명씨의 이름을 따라 산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그러나 옛 지도에는 이곳 일대에서 말을 길렀다 해서 마유산이라는 산이름이 분명히 있으나 지금은 유명산으로 통칭되고 있습니다. 동쪽으로 용문산(1,157m)과 이웃해 있고 약 5km에 이르는 계곡(입구지계곡)을 거느리며 계곡에 끊임없이 흐르는 물로 등 산객의 애호를 받고있습니다. 이곳의 계곡은 박쥐소, 용소, 마당소 등 유리알같은 맑은소와 이어져 장관을 이룹니다. 또한 정상 부근에는 행글라이더 활강장과.. 더보기 걷기좋은산행길 그리고 연리지 : 불곡산-태재-영장산-갈마치-이배재 불곡산 (佛谷山) 312.9m 경기도 성남시 정자동과 광주시 오포읍의 경계에 있는 산. 분당구 정자동과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 344m의 산으로 나지막한 산에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분당 주민들의 휴식처 역할을 한다. 큰절골과 작은절골 등에 절터가 있으므로 불곡산(佛谷山)이라 하였다고 전해진다. 또 정자동 웃마을 주민들이 이 산을 성스러운 산으로 여기 고 산신제를 지낸 것에서 유래하여 성덕산(聖德山)이라고도 하고, 현지에서는 효종산(孝鐘山)이라고도 한다. 불곡산은 북쪽으로는 태현과 새마을고개를 지나 새나리고개, 곧은골고개, 갈마치고개로 이어지고, 검단산과 청량산의 남한산성 지대와도 이 어진다. 남쪽으로는 부천당고개를 지나 성남시와 광주시 오포읍, 용인시 수지지구와 경계를 이루는 대지산으로 이어지.. 더보기 불암산 - 수락산 수락산 (水落山 638m) 노원구 상계동, 경기도 의정부시 송산동 경계에 있는 산 높이 638m. 도봉산·북한산과 마주보고 있으며, 남쪽 능선은 덕능고개를 중심으로 불암산과 이어진다. 산세는 비교적 험하지 않으며, 중랑천의 지류가 발원한다. 기반암은 화강암이며, 암벽이 곳곳에 드러나 있어 수림이 울창하지 않다. 동쪽 사면의 금류계곡에는 금류동(金流洞)·은선동(隱仙洞)·옥류동(玉流洞) 폭포가 있으며, 정조 때 300일 기도를 올려 순조의 탄생을 보게 했다는 내원암(內院庵)이 있다. 이 암자의 법당 뒤에는 고려시대 이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2m의 석조미륵입상(石造彌勒立像)이 서 있으며 선인봉과 칠성대를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다. 서쪽 사면에는 쌍암사(雙巖寺)·석림사(石林寺)가 있으며, 남쪽 사면에는 계림.. 더보기 도봉산 ~ 사패산 종주 도봉산 (道峰山 739.5m) 서울특별시 도봉구와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양주시 장흥면의 경계에 있는 산. 높이 739.5m. 북한산국립공원의 일부로 주봉인 자운봉을 비롯하여 오봉·만장봉 등이 솟아 있다. 산 전체가 하나의 큰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기복과 울창한 수림이 절경을 이룬다. 도봉동·송추·망월사 계곡은 유원지로 개발되었으며, 불암산·수락산과 더불어 서울 시민의 휴식처 및 등산로가 되고 있다.그밖에 망월사·쌍룡사·천축사 등의 절이 있다. 도봉산과 북한산의 안부에 해당하는 우이령을 통해 우이동과 연결되며 구파발-송추 간의 간선도로와 서울-의정부, 송추-의정부 간 국도가 나 있다. 도봉산은 서울 근교의 산으로 북한산과 함께 북한산 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있으며 교통이 편리하고 산세가 아름.. 더보기 수도권 눈꽃산행 三選 눈꽃 산행은 겨울철 최고의 호사다. 가지마다 눈꽃이 화려하게 피어난 숲길을 걷는 맛은 그야말로 환상적이다. 다른 계절에는 그다지 볼품이 없던 산도 눈이 내리고 나면 최고의 경치로 탈바꿈하기도 한다. 하지만 평소 등산을 즐기는 이들이라도, 눈꽃 산행을 떠나기란 쉽지 않다. 이름난 눈꽃 산행지들이 수도권에서 멀리 있기 때문이다. 눈꽃이나 상고대를 제대로 보려면 이른 아침에 올라야 하는데, 시간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잘 찾아보면 수도권 근교에도 눈꽃을 즐길 수 있는 산이 적지 않다. ◆ 포천 국망봉 = 경기 포천시 이동면 장암리에 위치한 국망봉은 후삼국 시대 태봉국왕 궁예가 나라가 망하자 이곳에 올라 불타는 철원 도읍지를 바라봤다고 해서 '국망'이란 이름이 붙었다. 해발고도 1167m로 경기도에서는.. 더보기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