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립공원

닭의 볏을 쓴 용을 닮은 계룡산.

728x90


[계룡산 (鷄龍山) 845m]

주봉인 천황봉(天皇峯, 845m)에서 연천봉(連天峯, 739m)·삼불봉(三佛峯, 775m)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마치 닭 볏을 쓴 용의 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계룡산은

차령산맥 서남부에 솟아 있으며, 금강에 의한 침식으로 이루어진 산지이고,

호남 제일의 명산으로 1968년에 국립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닭띠 명산ㅣ계룡산 르포]

산길은 신원사에서 출발하여 고왕암 - 연천봉고개 - 연천봉 - 관음봉 - 자연성능 - 삼불봉 - 남매탑

- 큰배재 - 천정골 탐방지원센터 를 거쳐 동학사 주차장으로 하산하는 코스로 잡아본다.

날씨는 갑자기 추워져 영하권을 가르키고 바람도 세차게 불어

아마도 봄속의 겨울산행을 해야 할것같다.



계룡산은 민족의 명산이며 신령스러운 산이다. 

조선 초기 태조 이성계가 신도안에 도읍을 정하려고 답사를 왔을 때 동행했던 무학대사가 

금닭이 알을 품은 형국이고 용이 날아 하늘로 올라가는 형국이라고 한데서 이름이 지어졌다고 전해지고 있다. 

계룡산 동쪽에는 동학사가 있고 서쪽에는 갑사, 북쪽에는 구룡사가 있었지만 폐사되었고 남쪽에는 신원사가 자리하고 있다.


계룡산은 동학사와 갑사를 기점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하지만 남서쪽 신원사 쪽은 상대적으로 사람의 발길이 뜸해 호젓한 산행을 함께 즐길 수 있다.

신원사 탐방지원센터를 지나 꽃길 사이로 천황봉을 바라보며 신원사로 향한다.


(신원사 부도)

신원사는 백제 의자왕 때 보덕화상이 창건한 고찰로(현재 조계종 마곡사의 말사).

조선시대 3악(상악-묘향산, 중악-계룡산, 하악-지리산)으로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중악단이 있는 곳이다.


(사천왕문,四天王門)

신원사의 금강문과 일주문을 대신하는 사천왕문을 들어선다.

사찰 입구 동서남북 사천왕 수호신으로 삼아서 좌우 세운 문이다.


사천왕문을 지나니 대웅전을 만나고 마당에는 연등을 매다는 골조공사가 한창이다.


신원사는 계룡산 동서남북 4대사찰 중 남사에 속하며,

651년(의자왕 11)에 보덕이 창건하였고 신라말에 도선이 법당만 남아 있던 절을 중창하였다.

문화재로는 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31호인 오층석탑과 부도가 있다.


(범종각)

범종각 앞에도 사월초파일을 맞이하기위한 연등을 매다는 준비에 바빠보인다.


(신원사 대웅전)

신원사의 본래 이름은 신정사(神定寺)였으나 뒤에 신원사(神院寺)라고 했다가 

1866년(고종 3)에 지금의 신원사(新元寺)로 고쳤다고 한다. 


(영원전)

조선시대에 접어들어 신원사는 1394년(태조 3) 무학대사가 크게 중창하였고, 이때 영원전을 지었다고 한다.


영원전 옆으로 벚꽃이 한참 피어있고 동백꽃도 아직 남아있는 꽃길을 지나 중악단으로 향한다.


중악단 가는길에 만나는 (천수관음전)

신원사가 지역의 불자들과  불교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바른 신행활동을 할 수 있도록 불교대학을 개설하여 가르치는 곳이다.

 

(중악당 대문간채)

천수관음전을 지나 중악단입구 대문간채 만난다.

신원사 동쪽에 위치한 중악단은 조선 태조 3년에 창건된 것으로 나라에서 제사를 지냈던 산신각이다. 

효종 때 철거됐다가 고종 16년에 명성황후가 다시 건립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궁궐양식을 그대로 축소해 만든 왕실 산신제단으로 그 가치가 높아 1999년 보물 제1293호로 지정되어 있다. 


(중악단 중문간채)

중악단은 대문간채와 중문간채를 지나야 중악단 본채를 만난다.


(중악단 中嶽壇)

본래는 계룡산의 산신제단(山神祭壇), 즉 계룡단이었던 것이

조선 말 고종 때 묘향산에 상악단(上嶽壇), 지리산에 하악단(下嶽壇)을 두고 있었으므로 중악단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신원사 오층석탑)

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31호

신라 석탑의 전통을 이어받은 고려시대 탑인데 5층 부분재료가 없어저 4층짜리로 남아있다.

석탑이 서 있는 자라가 현재는 절 건물 중심부에서 벗어나 있는데 원래는 이곳이 신원사의 중심 이었다고 한다.


 


오층석탑과 중악단을 한 그림으로 담아봤다.


신원사를 벗어나 임도를 따라 오르다 고왕암과 연천봉 이정표를 보며 산길로 접어든다.


산길을 들어서니 이제 막 돋아나는 풀잎과 나뭇잎이 싱그러움을 선사한다.


(극락교 極樂橋)

흔히 행복하고 안락한 곳을 표현할 때 으례 극락이라는 표현을 쓴다.

극락의 참된 뜻은 잘 몰라도 막연하나마 좋은 곳, 이상적인 곳이라는 것은 다들 알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과연 이 다리를 건너면 만나게 될 계룡산의 극락이 궁금해진다.


극락교를 지나 키큰 산죽이 우거진 길과 돌계단을 한발 한발 올라서면 고왕암에 닿는다.


고왕암은 백제 의자왕의 아들 융이 피신해서 머물렀고,

태조 이성계가 머물렀다 하여 절 이름에 ‘머물 古’자를 썼다고 전한다.


고왕암 좌측에 바위에 양각으로 세겨진 입불상.


 고왕암과 입불상 사이의 절벽 아래에는 석간수가 있다.


고왕암을 지나며 산길을 들어 서면서 처음 만나는 구름다리.


고왕암을 지나면 경사도가 급해지면서 더덜바위 돌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어 각별한 주위와 노고를 요구한다.


연천봉으로 오르며 두번째 만나는 구름다리를 힘겨운 모습으로 걷는 산꾼들.


연천봉으로 향하며 세번째 구름다리를 건넌다.

저 다리밑을 흐르는 하천은  연천봉에서 발원하여

서쪽의 계룡저수지와 남서쪽의 경천저수지를 지나 금강의 지류인 월암천에 합류한다.


5년의 세월이 흘러서일까?

새로 만든것 같은 이정표의 거리 표시가 예전보다 100m씩 길어졌다.


5년전 겨울, 이곳을 지날때의 이정표.

연천봉고개와 등운암 거리가 지금보다 100m씩 짧다.


연천봉에 가까워질 수 록 탐방로가 가파르지만 난이도가 높은 지역마다 목재 계단과 데크가 잘 설치 되어 있다.


연천봉고개 사거리의 이정표.

연천봉을 바라보며, 우측길이 갑사로 가는길이고, 정면으로 200m오르면 연천봉,

그리고 뒷편길이 관음봉을 거쳐 동학사로 이어지는 탐방로다.

나는 여기서 정면으로 보이는 연천봉으로 오른다.


연천봉을 향해 오르다 만나는 헬리포터.



연천봉(連天峰)은 신원사 전탐방로의 대표적인 봉우리로 해발 738.7m의 높이에 위치해 있다.

산봉우리가 구름(하늘)과 맞닿았다고 해서 연천봉이라 하고, 주변에 구름위에 올라탔다는 뜻의 암자인 등운암이 있다.

연천봉은 계룡팔경의 하나로 저녁 무렵 노을(낙조)이 굉장히 유명하다.


연천봉(738m)에서 보는 천황봉(845m).

천황봉에는 군 통신시설이 자리하고 있어서 아쉽지만 일반인은 오를 수가 없다.


연천봉에서 보는 앞의 문필봉과 관음봉, 그 뒤로 멀리 자연성릉과 삼불봉이 한 눈에 들어온다.

연천봉에서 해발 816m의 관음봉을 지나 삼불봉 방향으로 이동하려면 자연성릉을 지나야한다.


(연천봉의 암각문)

연천봉 정상 암각에 새겨져 있는 '남무염불(南無念佛)'이라는 큰 글자와 '방백마각 구혹화생(方白馬角 口或禾生)'이란

각자속에 숨겨진 역사적 사실과 명성황후와의 관계를 규명해 눈길을 끌고 있다.


연천봉을 다시 내려와 연천봉 고개에서 관음봉으로 향한다.


연천봉고개에서 관음봉고개로 가는길 역시 너덜바위길 이라서 주위를 요한다.


연천봉고개에서 약 1Km정도 걸어오니 관음봉 사거리를 만난다.

이곳에서 진행방향은 은선폭포를 지나 동학사로 질러가는 짧은 탐방로 이고 우측은 천황봉으로 가는 통제된길,

좌측 능선길이 관음봉, 자연성릉, 삼불봉, 남매탑을 지나 동학사로 향하는길이다.

여기서 동학사길을 버리고 관음봉으로 오른다.


관음봉(766m) 정상석.

관음봉 한운(閑雲)은 계룡산 팔경중 제사경으로 이 곳에서 하늘을 떠다니는 구름을 보면 신선이 된 듯한 기분이 든단다.


(5년전 관음봉 정상석)

관음봉 정상석 모양도 높이 표기도 5년전과 달라져있다.


나도 모처럼 맑은 하늘의 구름을 바라보며 관음봉의 한운의 의미를 즐겨본다.


관음봉 지척의 천황봉.

천황봉은 상봉이라고 불리는 계룡산 최고봉으로 한국통신 중계탑이 세워져 있고,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입산이 금지되어 있는 곳이다.

아쉽지만 저곳 정상에서 바라보는 일출은 계룡산팔경중 제일경으로 꼽히는 곳 이다.


관음봉에서 내려다 보이는 계룡면 일대의 평야가 멀리 공주시 까지 보인다.


관음봉에서 저 멀리 삼불봉으로 이어지는 자연성릉길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자연성릉이라는 이름은 마치 산의 능선 모습이 성벽모양과 흡사하다하여 부쳐진 이름이다.


관음봉에서 자연성릉 탐방로로 접어드는 내리막에서 보는 좌측의 천왕봉과 우측의 관음봉 그리고 철계단.


자연성릉길에서 보는 주위경관은 저절로 탄성이 나온다.

 하지만 아름다운 만큼 관음봉에서 내려온 자연성릉 탐방로는 굉장한 비탈길로 어지간히 조심스럽다.


자연성릉 탐방로에서 보는 기암과 소나무의 조화가 아름답다.


자연성릉길에서 뒤 돌아보니 천황봉과 관음봉이 이 산을 왜 계룡이라 부르는지 알려주는듯하다.


기암괴석과 공존하는 여린 소나무가 주위의 풍경과 어우러져 묘한 자태와 신비스러움을 자아낸다.

계속 이어지는 자연성릉길이 하나도 힘들지 않은건 아마도 저 아름다운 풍광 때문이리라.


자연성릉의 막바지를 지나 삼불봉 입구에 서니 가파른 철계단이 다시한번 나의 인내심을 시험한다.

5년전 몸담고 있던 산악회에서 올때는 이곳을 우회하는 바람에 아쉬움이 많았던 삼불봉이다.


삼불봉(三佛峰, 775m)
천황봉이나 동학사에서 바라보면 세 부처님의 모습을 닮았다 하여 삼불봉이라 한다.

사시사철 아름다움 풍광을 맛볼 수 있으나 그 중 설화가 피었을 때가 압권을 이루어 계룡팔경중 제이경으로 꼽힌다.


삼불봉에 서면 자연성능을 거쳐 쌀개봉∼천황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비롯해

 황적봉 능선, 연천봉 능선이 마치 용이 꿈틀거리는 듯 느껴진다.


삼불봉 정상석의 뒷면 암각문.

보통 정상석에는 한 면만 이름을 새기는데 이곳에는 한글과 한문으로 정상석 한 면씩을 차지하고있다.


이곳 삼불봉에서는 동학사계곡과 갑사계곡도 한눈에 들어와 계룡산의 전모를 볼수 있다.


삼불봉을 내려와 삼불봉고개 삼거리에서 금잔디고갯길을 버리고 남매탑으로 향한다.


남매탑 만나기전의 [남매탑 중건방함기]비.

비에 새긴 비문의 내용은 대충 이러하다.

대한민국 호남에 명산 하나 자라잡고 있으니 산이름이 계룡(鷄龍)이요, 물이름이 금강(錦江)이라.....

신라 성덕왕(聖德王) 23년 갑자 서기 723년에 조사의 문인(門人) 회의화상(懷義和尙)이 관하여 건립된 탑으로,

유구한 역사를 지닌문화재였던 바,

불행하게도 1944년 봄에 도굴배(盜堀輩)에 의하여 무너져 있있으나 복구하기 극히 어려웠던 중,

1961년 늦가을에 대전시 효동에 거주하는 김선룡(金善龍)씨가 신심의 원력을 낸 은혜로

막대한 사재를 희사하여 중수재건(重修再建)하니그 공로는 불가사의함이로다.

만시지탄 (晩時之歎)....

아마도 만시지탄 (어떤 일에 알맞은 때가 지났음을 안타까워하는 탄식)다음으로 뒷면에 글이 연결 되어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안타깝게도 뒷면을 확인 하지 못했다.


남매탑(男妹塔)

남매탑은 계룡산에 있는 두 개의 탑으로 동학사에서 갑사로 넘어가는 삼불봉 중턱에 있는 상원암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곳은 계룡 팔경중 제팔경인 '오뉘탑의 명월'로 꼽힐 만큼 풍광이 뛰어난 곳이다.

남매탑은 충남 지방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곳에 청량사가 있었다하여 청량사지쌍탑 이라고도 불린다.



5층 석탑은 보물 제128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7층 석탑은 보물 제1285호로 지정되어 있다.

청량사는 임진왜란때 병화로 전각이 모두 소실되었고, 이 탑만 남게 되었다고 한다.

일명 남매탑 또는 오뉘탑이라 부르기도 하고 이 2기의 석탑들은 1944년에 도굴꾼에 의해 무너져 있던 것을 1961년에 복원하였다.

탑을 쌓은 돌들은 계룡산 일대의 존재하는 화강암류로 담홍색 흑운모화강암이다.


남매탑 아래에 자라잡고있는 상원암(上元庵).


남매탑 삼거리에서 가까운 동학사길을 버리고 조금 멀지만

계룡에서 안밟아본 천정지원센터로 갈 수 있는 큰배재로 향항다.


큰배재로 가는길에 만나는 이정표.

길에서는 여러갈래로 나눠지는 등로가 많아 자기 목적지를 잘 확인 해야한다.


(큰배재 사거리의 이정표)

이곳에서는 부도골이 있는 상신, 신선봉과 잘군봉을 가는 병사골, 내가 가야할 천정골 등으로 갈라지는 사거리다.


문골 삼거리의 이정표.

여기 이정표를 끝으로 갈림길은 더 없고 천정지원센터로 향한다.


문골삼거리를 지나니 험한 너덜바윗길은 끝나고 잘 다듬어진 등로로 하산한다.


등로 주변에는 하산길과 함께하는 천정골 계곡물이 엇그제 비온 덕분인지 맑고 풍부한 수량을 자랑한다.


봄에 산에 오면 봄꽃들이야 당연히 예쁘지만 파릇파릇 피어나는 나무의 새잎도 어느꽃 못잖게 예쁘다.


물과 나무와 들꽃에 홀려 한참을 내려오니 산길은 다 끝난듯, 청정탐방지원센터를 지난다.


계룡산을 내려오니 이쪽 동학사지역도 벚꽃이 한창이다.


청정탐방지원센터에서 동학사 주차장입구에 다다르면 만나는 이정표.

여기에 도착하여 시간을 보니 버스가 떠나는 시간은 한 시간여 남아 있고,

동학사 거리를 보니 왕복 약 3.5Km를 가르키고 있다.

기왕 계룡산에 온김에 동학사까지 보고싶다는 욕심이 발동하여 발걸음을 동학사로 옮긴다.


동학사 입구길에는 풍물장터가 자리잡고 계룡산 상춘객들을 불러 모으고있다.


풍물장터를 벗어나니 동학사 오름길은 벚꽃이 활짝피어 그야말로 꽃길을 만들어 놓았다.


[동학사 홍살문(紅箭門 )]

어느 사찰에서도 본것 같지 않은 홍살문을 지난다.

홍살문은 어떤 경역(境域)을 상징하는 문으로서

보통 사당과 능(陵)·묘(墓)·원(園) 앞에 세우는게 일반적인데,

그 위치와 방향은 풍수도참사상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서 사찰 입구에 세워진건 특이하다.


홍살문을 지나 만나는 동학사 일주문.

동학사 편액은 무인년인 1998년 겨울에 여초거사(如初居士)가 썼다고 적혀있다.


일주문을 지나면 좌측으로 바로 만나는 (계룡팔경 선정기념 조형물).

맨 좌측이 '생각하는여인' 우측 뒤로 '자연과인간' 그리고

그 앞이 계룡산의 웅자를 소녀의 애띤 자태를 빌려서 형상화한 '계룡의얼굴(烏石의 小女)'이다.


연이어 만나는 암자들, 문수암.


관음암.


길상암.


미타암.


연이어 만나는 암자를 지나니 남매탑에서 은선폭포를 지나 동학사로 내려오는 등로와 만난다.


동학사 불교문화원 (東鶴寺 佛敎文化院)

동학사 불교문화원은 2002년 4월 26일 다양한 불교 강좌와 교양 강좌를 통하여 일반인들에게 불교를 가르치고,

여러 단체와 교류하며 불교의 가르침을 함께 나누려는 목적에서 설립된 일종의 불교 교양대학이다

동학사(東鶴寺) 대웅전 입구에서 계단을 올라간다.


동학사 대웅전.


동학사(東鶴寺)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로, 동계사(東鷄寺) 라고도 부른다.

이 절의 동쪽에 학 모양의 바위가 있으므로 동학사(東鶴寺)라 하였다는 설과,

고려의 충신이자 동방이학(東方理學)의 조종(祖宗)인 정몽주(鄭夢周)를 이 절에 제향하였으므로

동학사(東學寺)라 하였다는 설이 함께 전해진다.

936년신라가 망하자 대승관(大丞官) 유거달(柳車達)이 이 절에 와서

신라의 시조와 충신 박제상(朴堤上)의 초혼제(招魂祭)를 지내기 위해 동학사(東鶴祠)를 지었다.

그리고 사찰을 확장한 뒤 절 이름도 동학사(東鶴寺)로 바꾸었다.


동학사 대웅전앞의 삼측석탑과 연등.


동학사삼층석탑(東鶴寺三層石塔)

동학사내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청량사지(계룡산 남매탑이 있는 곳)의 암자에서 옮겨진 탑으로,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석탑은 동학사를 창건할 당시에 건립하였다고 하나 각부의 양식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1층 기단(基壇)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인데, 탑신부의 3층 몸돌은 없어진 상태이다.

기단의 맨 윗돌은 탑신의 지붕돌과 같이 윗면에 비스듬한 경사를 두었다.

탑신의 각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으며,

적당한 경사가 흐르는 지붕돌은 밑면에 5단씩의 받침을 새겨 놓았다.


 동학사 숙모전 안의 삼은각(앞)과 동계사(뒤).

삼은각(三隱閣) : 고려 때 절의를 지킨 포은 정몽주, 목은 이색, 야은 길재 등 삼은(三隱)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고려 유신 길재가 월영(月影), 운선(雲禪) 두 스님과 함께 단(檀)을 설치하고,

고려 태조 및 충정왕, 공민왕의 초혼제를 지내다가 정몽주도 아울러 모셨다.

이곳은 조선 정종 1년(1399)에 고려 유신 유방택이 삼은의 초혼제를 지냈으며

다음해에 공주목사 이정간이 건물을 세우고 삼은의 제사만를 지내 삼은단이라 하였다.

세조 때에는 유방택과 이숭인, 나계종을 추가하여 6인의 제사를 지냈으나 이름은 그대로 삼은각이라고 하였다.


삼성각(三聖閣).

삼성각은 삼성(칠성∙산신∙독성)의 탱화를 모신 곳이다. 가운데 칠성, 왼쪽에 산신, 오른쪽에 독성 탱화를 모셨다.

칠성은 북두 칠성을 말하는데 별나라의 주군(主君)으로 인간의 복과 수명을 맡고 있으며,

산신은 우리 민족 고유의 산악 신앙의 토속신앙으로, 호랑이와 더불어 나타나는데 재물을 담당한다.

독성은 인연이 이치를 홀로 깨닫고 성인이 되어 말세 중생에게 복을 내리는 존재이다.
 각각 도교∙토속∙불교신앙의 한 표현으로, 불교가 토착화하는 과정에서 여러 신앙 요소가 합쳐진 형태이다.
불교 밖의 신앙대상을 모셨으므로 건물 이름을 전(殿)이라 하지 않고 각(閣)이라 하였다.

  


목련 만발한 대웅전과 삼성각을 한 모습으로 담아봤다.


대웅전을 나와 계룡산을 바라보며 동학사 담장을 거목과 함께 담아봤다.


대웅전 입구에거 보는 범종루(梵鐘樓) .


세진정(洗塵亭).

세진정은 동학사 바로옆 동학사계곡을 이루는 용수천에 세워져있다.

육모정(六矛亭)정자로 세진(洗塵)이란 마음속 번뇌의 티끌을 맑게 씻는다는 뜻이다.


동학사 일주문을 다시 한 번 바라보며 왔던길을 되짚어 내려간다.


동학사 일원을 그야말로 번개처럼 한 바퀴 둘러보고 계룡산 매표소 겸 탐방안내소를 지나간다.


부지런히 다녀온 덕에 여유로운 마음으로 동학사 입구길의 벚꽃들을 감상한다.


엇그제 나름대로 적지않은 비가 내렸고 오늘은 기온도 차고 바람도 거세서

벚꽃이 다 지는건 아닌가 걱정했는데 아직은 끄떡 없다는듯 화사한 꽃들을 보니 반갑다.


오늘 갑자기 추워진 날씨와 세차게부는 바람으로 산행길에 애를 먹었지만

나름대로 상쾌하게 벗겨진 하늘과 멀리까지 보이는 맑은 날씨덕에

상쾌한 기분좋은 산행을 하였다.

오늘 나를 무탈하게 받아준 계룡산과 맑은 날씨에 감사를 표한다.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