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산 (伽倻山. 1,432m) : 만물상(萬物相) 과 옹기골 단풍.
가야산 (伽倻山, 1,432m)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과 수륜면에 걸쳐 있는 산입니다.주봉인 상왕봉(象王峯, 1,432.6m), 칠불봉(七佛峯, 1,433m)과 두리봉(1,133m), 남산(南山, 1,113m), 단지봉(1,028m), 남산 제1봉(1,010m), 매화산(梅花山, 954m) 등 1,000m 내외의 연봉과 능선이 둘러 있고, 그 복판에 우리나라 3대 사찰 가운데 하나인 해인사와 그 부속 암자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가야산은 가야국 기원에 관한 전설을 픔고 있는 산으로 대가야지방 (고령, 합천, 성주) 을 대표하는 까닭에 '가야의 산'이라 하여 '가야산'이 되었습니다.가야산은 예로부터 ‘조선팔경’ 또는 ‘12대 명산’의 하나로 꼽혀왔습니다. 1966년 가야산 해인..
더보기
광덕산 (廣德山. 1,046m) : 가을 단풍의 시작.
10월의 둘째 주 토요일.다음 주에 안내산악회를 따라 가야산 등반계획이 있어 시간제한을 받는 안내산악회 등반에서 남들에게 민폐 끼치는 일이 없기를 바라며 준비운동을 겸 해 예전부터 가보고 싶었던 광덕산을 찾았습니다. 광덕산 (廣德山) :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강원도 철원군 서면,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백두대간에서 갈라진 한북정맥에 속하는 산으로, 동쪽에 복주산(伏主山, 1,152m)·대성산(大成山, 1,175m), 남쪽에 백운산(白雲山, 904m), 서쪽에 명성산(鳴聲山, 923m) 등이 솟아 있으며, 산의 모습이 웅장하고 덕기(德氣)가 있다 하여 이름이 광덕산이 되었다 합니다.한북정맥은 강원도와 함경남도의 도계를 이루는 평강군(平康郡)의 추가령(楸哥嶺)에서 서남쪽으로 뻗어 한강과 임진강의 강구(江口)..
더보기
민주지산(1,241m) - 석기봉(1,200m) - 삼도봉(1,176m)
절기상 겨울이 끝나고 봄이 시작된다는 입춘(立春)이 지난 지도 한 달 가까이 지나고 우수(雨水)는 물론이고 대동강의 언 물도 풀리며 동면하던 개구리도 깨어난다는 경칩(驚蟄)을 삼일 앞둔 3월의 첫 토요일, 본인이 함께하고 있는 토요 행복산악회 회원들과 함께 민주지산을 찾았습니다. 물한계곡에서 오전 10시 15분쯤 출발 한 산행은 초반에는 밋밋했던 탐방로는 쪽새골을 들오서며 서서히 바닥에 잔설이 보이더니 나뭇가지에 이슬이 얼어 영롱한 투명 구슬을 매단 것 같은 충경이 이어집니다. 눈 꽃도 아니 것이 ,,,,, 그렇다고 상고대도 아닌 것이 ,,,,, 나무 가지 가지 끝마다 매달린 수정 같은 얼음 꽃이, 보는 이의 마음을 흔들어 놓았던 진귀한 풍경이었던 것 같습니다. 겨우내 많은 눈의 무개를 못 이겨 부러진 ..
더보기
운악산(雲岳山, 937.5m)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가평군 조종면.
운악산(雲岳山 937.5m) : 지형적 위치 - 북한에서부터 휴전선 바로아래 강원 화천의 '적근산'을 거처 파주 '오두산'까지 이어지는 '한북정맥'이 포천과 가평사이를 지나며 만든 산이 '운악산'입니다. 행정구역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과 가평군 조종면. 경기 5 악의 하나인 운악산은 광주산맥의 여맥 중의 한 산으로 북쪽으로 청계산(淸溪山, 849m)·강씨봉(姜氏峯, 830m)·국망봉(國望峯, 1,168m) 등으로 이어져 포천시와 가평군의 경계를 이루며, 산의 동북쪽에는 화악산(華岳山, 1,468m)·명지산(明智山, 1,267m) 등의 명산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운악산이라는 이름은 주봉인 만경대를 중심으로 웅장한 암봉들이 구름을 뚫을 것처럼 하늘로 솟았다고 하여 운악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현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