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 근교산

운길산 (雲吉山. 610m) : 수종사(水鐘寺)와 절상봉의 가을풍경 운길산 (雲吉山. 610m) :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리 운길산은 남양주시에 있는 높이 610m의 산입니다. 1890년(고종 27)에 지은 ‘수종사중수기’에는 운길로 나오고, 그보다 오래된 ‘동국여지승람’에는 조곡산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구름이 가다가 산에 걸려서 멈춘다고 하여 운길산이라 불리는 이 산의 정상에서는 북한산, 도봉산, 용문산 등 주변의 산들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운길산에서는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류하는 두물머리(양수리)가 내려다보이는 절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수종사 (水鐘寺) :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입니다. 이 절은 일찍이 서거정(徐居正)이 동방 사찰 중 제일의 전망이라고 격찬한 명당으로도 이름이 높습니다.창건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4.. 더보기
수리산 ( 견불산, 修理山, 475m)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과 군포시 속달동 및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산행일 : 2024년 04월 13일 (토).                                   날씨 - 맑음,           산행길 : 들머리 -  수암파출소                                  날머리 - 명학역              * 수암파출소 - 수암계곡 - 수암봉 - 슬기봉 - 칼바위 - 병풍바위 - 태을봉 - 관모봉 - 명학역.        산행거리 : 약 9km.  5시간 40분  (점심, 휴식 1:00 포함) 더보기
가평 53산,서울근교 50대 명산,경기27명산,경기 100산,경기도 170산 경기도청은 2007년 11월에 홍보 및 문화관광 차원에서 경기도의 명산들 중 "가까이서 즐기는 경기명산27"을 선정, 발표하였다. ◐ 경기 27산 (경기도 선정) ◑ 봄 Spring 1. 수리산(489m) : 도심 속의 약수, 청정 명산 2. 관악산(629m) : 수도권을 지키는 하얀 호랑이 3. 남한산성(도립공원) : 느린 걸음으로 둘러보는 천년의 요새 4. 설봉산(394m) : 예향과 철쭉으로 아름다운 산 5. 서운산(547.4m) : 부드럽고 유순한 사람들이 모이는 곳 6. 축령산(879m) : 하늘 덮는 나무들의 알싸한 향기 7. 태화산(644m) : 봄 나들이 하기 좋은 산 8. 연인산(도립공원, 1068m) : 사랑이 피어 오르는 산 여름 Summer 9. 광교산(582m) : 나무 향에 취해.. 더보기
수락산 사과바위 (水落山. 638m)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수락산(水落山) : 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도 의정부시, 남양주시 세 지역에 걸쳐 있는 높이 638m의 산입니다.산이 낮고 계곡도 작지만 경관이 좋고. 바위와 모래로 이루어진 산이라 거대한 암벽 등의 기암괴석이 많으며, 샘터나 폭포도 많습니다. 다만, 수목은 적은 편입니다.서쪽 사면에는 쌍암사(雙巖寺)와 석림사(石林寺), 남쪽 사면에는 계림암(鷄林庵)과 흥국사(興國寺), 동쪽 사면에는 내원암(內院庵)이 자리 잡고 잇습니다. 내원암 뒤에는 2m짜리 석조미륵입상이 있는데, 고려시대 이전에 만들었다고 추정됩니다. 그 밖에 산자락에는 수락산 유원지가 있어 간단하게 쉴 수도 있습니다.   사과바위 : 내원암 인근에 내원암장이라고 불리는 거대한 바위벽(대슬랩)이 있고 그 정상을 향로봉이라 합니다. 이곳은 암벽등.. 더보기
광명알프스 :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서독산. (도구가서 종주) 광산 시작년도 : 1912년광산 폐광년도 : 1972년채광물질 : 금, 은, 동, 아연 등갱도길이 : 7.8km(개방 2km)갱도층수 : 0레벨 ~ 지하7레벨(총8레벨)총 깊 이 : 275m. 더보기
관악산 - 파이프능선 - 자하동천계곡 - 과천향교. 나눔 , 어우러짐, 배려 , 우린 그렇게 우정과 사랑을 싹틔우고산행의 잊지못할 행복한 추억이 차곡차곡 쌓아가고 있는것 같다.언제부터인가 난 산에가면 무념무상, 산에선 모든 걱정과 생각으로 부터 자유로와짐을 ..그래서 산에서 언제나 행복하다.행복해서 힘들어도 다시 산을 가게 된다칼바위 능선길, 이젠 가져온 물도 다 떨어지고 체력도 떨어지고 지칠대로 지쳐서한발자욱 한발자욱이 힘에 겹다.그러나 걷고 또 걷고어차피 자신과의 싸움,  힘듬을 즐기기 위한 산행이 아닌가 ~??                    산행일 : 2023년 11월 25일 (토).                   날씨 - 흐림, ( -2℃ ~ 5℃ )               산행길 : 들머리 - 사당역..                    .. 더보기
예봉산(禮峯山 683m) - 예빈산(禮賓山 590m) : 경기 남양주시 와부읍, 조안면. 예봉산(禮峯山, 683m)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 팔당리와 조안면 진중리, 조안리에 걸쳐있는 산입니다. 북쪽으로는 적갑산과 갑산이, 동북쪽으로는 운길산이, 동남쪽으로는 예빈산이 예봉산과 더불어 한강을 어우르며 자리 잡고 있고, 한강을 건너 남쪽에는 검단산을 마주 보고 있는 아름다운 조망원을 자랑하는 산입니다. '예봉(禮奉)'이란 이름은 조선시대 영서지방을 오가는 선비들이 한양을 떠날 때 삼각산이 보이는 이곳에서 임금에게 예(禮)를 갖추어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예빈산(禮賓山 590m)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하며 예봉산과는 약 2.2km 거리에 이웃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예봉산을 큰 사랑산, 예빈산을 작은사랑산으로 불리었으며, 직녀봉이라는 또 다른 이름을 갖고 있는 예빈산.. 더보기
수락산(水落山) - 도정봉(526m) : 의정부시 장암동, 송산1동 경계 2022년 4월 수락산 주봉 정상석, 기차바위 안전로프와 함께 사라진 도정봉 정상석은 그 훼손 한 범인을 검거하여 수락산 주봉 정상석은 파손된 채로 찾았으나 도정봉 정상석은 아직도 행방이 묘연하고 그 자리에는 도정봉 이정표가 정상석을 대신하여 여기가 도정봉임을 알려주고 있습니다.2022년 6월 현재 남양주시 구역인 수락산 주봉 정상석은 복원되었으나 의정부시 구역인 기차바위와 도정봉은 기차바위에는 안전 문제로 안전로프가 다시 설치됐으나 도정봉 정상석은 예전에 누가 설치했는지도 모르고 사유지이며 그동안 의정부시에서 관리하지를 않았었고, 그런 이유로 도정봉 정상석을 다시 설치할 계획이 없다고 합니다.  수락산(水落山, 637m) : 서울 노원구 상계동, 의정부시 장암동, 송산동, 남양주시 별내면에 걸쳐 있는 .. 더보기
불암산(佛巖山. 508m) 종주 : 서울시 노원구, 경기도 남양주 별내면. 불암산(佛巖山) : 서울특별시 노원구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508m. 서쪽으로는 북한산이 마주 보이고, 북서쪽과 북쪽으로는 도봉산·수락산이 각각 솟아 있습니다. 불암산은 큰 바위로 된 봉우리가 중의 모자를 쓴 부처의 형상이라 하여 이름 붙였으며 필암산(筆巖山), 천보산(天寶山)이라고도 합니다. 남북방향으로 능선이 뻗어 있으며, 산세는 단조로우나 거대한 암벽과 울창한 수림이 아름다운 풍치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기반암은 화강암이며, 당현천과 용암천의 계류들이 발원합니다. 돌아가신 임금을 지키는 산이라 하여 태릉과 강릉을 비롯한 동구릉·광릉 등 많은 왕릉이 주변에 있으며, 산정에는 성터·봉화대터가 남아 있고, 남쪽 산록에는 육군사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삼육대학교, 태릉선수촌, 태릉 .. 더보기
관악산 (632.2m) : 관음사지 - 사당능선 - 연주대(정상) - 깔닥고개 - 자운암능선 - 서울대 공학관. 관악산 (冠岳山) :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금천구, 경기도 안양시·과천시에 걸쳐 있는 산. 높이 632.2m. 최고봉은 영주대 불꽃바위이며, 서쪽으로 삼성산과 이어집니다. 기반암은 화강암이며, 전사면은 비교적 가파릅니다. 서울 분지를 둘러싸고 있는 봉우리 중의 하나로 예로부터 수도 서울의 방벽으로 이용되어 왔습니다. 본래 화산(火山)이라 하여 조선 태조 이성계가 한양에 도읍을 정할 때 화기를 끄기 위해 경복궁 앞에 해태를 만들어 세우고, 이 산의 중턱에 물동이를 묻었다고 합니다. 또한 산정상에는 세조가 기우제를 지내던 영주대(影炷臺)가 있습니다. 영주대(影炷臺)에는 현재 기상관측소가 자리 잡고 있고, 바로 옆의 송곳니 모양을 하고 있는 불꽃바위가 관악산 최고봉(632.2m)입니다. 관악산 정상으로 알려져 .. 더보기
천마산 (天摩山 810m) 남양주 : 천마산역 - 상여바위 삼거리 - 뾰족봉 - 천마산 - 멸도봉 - 팔현리 갈림길 - 수진사 입구. 천마산(天摩山) : 높이는 810.3m, 광주산맥에 속하는 이 산은 경춘가도의 마치고개에서 북쪽으로 3㎞ 지점에 있으며, 산세가 험하고 조잡하다 하여 예로부터 소박맞은 산이라는 별칭이 있습니다. 고려말 이성계(李成桂)가 이 산이 매우 높아 손이 석자만 길어도 하늘을 만질 수 있겠다 하여 천마산(하늘을 만질 수 있는 산)이라는 이름이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온대 중부림에 속하는 지역으로 소나무와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의 참나무류와 서어나무,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등의 낙엽활엽수가 우점종을 이룹니다. 급경사지의 분포도 넓은 편이며 고도에 비해 경사가 급한 편에 속합니다. 산행일 : 2022년 10월 22일 (토 요일). 날씨 : 맑음, 산행길 : 들머리 - 천마산역 묵현리. 날머리 - 수진사 입구. 천마산 탐.. 더보기
검단산 (鈐丹山 657m) - 경기, 하남 : 두물머리의 아름다움이 조망되는 곳 검단산은 대도시인 서울과 가까운 거리에 있고, 근래에 지하철 4호선이 검단산 근처까지 (검단산역) 연장 개통되어 교통편도 편리해 부담 없이 찾아갈 수 있는 가족 산행지로 많은 사랑을 받는 곳입니다. 더위가 한 거플 지났다고는 하지만 아직은 내리쬐는 햇살이 뜨거운 8월의 마지막 주에 하남시 검단산을 찾았습니다. 검단산 (鈐丹山 657m) : 검단산의 높이는 657m이고, 한남정맥의 한 지맥으로, 그 끄트머리 한경변에 솟아 있는 산입니다. 북쪽으로는 예봉산이 있고, 사이에 팔당 협곡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협곡을 이용하여 팔당댐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남쪽으로 뻗은 능선에는 용마산이 솟아 있으며 서쪽으로는 중부고속도로가 지납니다. 한강을 사이에 두고 예봉산(禮峰山, 679m)과 마주하고 있으며, 정상은 넓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