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두타산(頭陀山, 1357m) : 베틀봉 - 관음암(觀音庵)의 가을. 두타산(頭陀山 1357m) : 지형적으로는 한반도의 중추역할을 하는 백두대간의 강원도 삼척 부근에 위치하며, 고적대(1357m), 청옥산(1407m)과 함께 한 줄기를 이루며 나란히 자리 잡고 있습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과 삼척시 하장면, 미로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2년 산림청에서 선정한 한국의 100대 명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두타산은 정상부가 첨봉(尖峯)을 이루고 주변은 급사면이어서 날렵한 산세를 보이나 청옥산은 완만하고 묵직한 형상을 이루는, 한 산인듯하며 서로 다른 형세를 보여줍니다. 두타(頭陀)는 속세의 번뇌를 떨치고 불도 수행을 닦는다는 뜻이며 산의 모양은 부처가 누워있는 형상이라고 합니다. 동해시 삼화역에서 남서쪽으로 약 4㎞를 들어가면 무릉반석과 함께 삼화사가 위치.. 더보기
두타산(頭陀山, 1357m) : 쌍폭포, 용추폭포 & 학소대. 쌍폭포(雙瀑布).박달골과 바른골, 두 개의 골짜기 물이 절벽인 쌍폭포에서 무릉계곡으로 합쳐지는 독특한 비경입니다. 용추폭포( 龍湫瀑布) 삼단 중 중탕.세 개의 웅덩이를 거쳐 삼단으로 떨어지는 이 폭포의 하담(荷擔)은 둘레가 30m나 되는 깊은 소(紹)를 이루고 있습니다.    산행일 : 2021년 7월 17일 (토)           날씨 : 흐리고 상부 비산행길 : 들머리 - 선인교 (배틀 바위 입구) ,      날머리 - 선인교 (배틀 바위 입구). 원점회귀.           * 신선교 - 배틀 바위 입구 - 배틀 바위 전망대 -  미륵바위 -  산성터 입구 - 12 산성 폭포 상부 - 석간수 - 마천루              - 쌍폭포 - 용추폭포 - 선녀탕 - 옥류동 - 학소대 - 무릉계곡 -.. 더보기
예봉산(禮峯山 683m) - 예빈산(禮賓山 590m) : 경기 남양주시 와부읍, 조안면. 예봉산(禮峯山, 683m)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 팔당리와 조안면 진중리, 조안리에 걸쳐있는 산입니다. 북쪽으로는 적갑산과 갑산이, 동북쪽으로는 운길산이, 동남쪽으로는 예빈산이 예봉산과 더불어 한강을 어우르며 자리 잡고 있고, 한강을 건너 남쪽에는 검단산을 마주 보고 있는 아름다운 조망원을 자랑하는 산입니다. '예봉(禮奉)'이란 이름은 조선시대 영서지방을 오가는 선비들이 한양을 떠날 때 삼각산이 보이는 이곳에서 임금에게 예(禮)를 갖추어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예빈산(禮賓山 590m)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하며 예봉산과는 약 2.2km 거리에 이웃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예봉산을 큰 사랑산, 예빈산을 작은사랑산으로 불리었으며, 직녀봉이라는 또 다른 이름을 갖고 있는 예빈산.. 더보기
응봉능선(鷹峯稜線, 332.9m) : 북한산(北漢山, 835.6m)의 진가(眞價)를 보다. 북한산(北漢山) :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최고봉(백운대) 높이 835.6m(2013년 6월 국토지리정보원 지도)의 산으로, 북한산 이름은 조선 후기시대 때 한성의 북쪽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북한산국립공원은 세계적으로 드문 도심 속의 자연공원으로, 수려한 자연경관을 온전히 보전하고 있고, 쾌적한 탐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1983년 4월 2일 : 대한민국 15번째 국립공원 지정, * 2003년 10월 31일 : 대한민국 명승 제10호 지정, * 2010년 9월 : 북한산 둘레길 부분개통, 2011년 6월 : 북한산 둘레길 21코스 완전 개통, 북한산 국립공원은 우이령을 중심으로 남쪽의 북한산 지역과 북쪽의 도봉산 지역으로 구분되며, 북한산의 전체 면적 중 서울은 약 39㎢ (48... 더보기
설악산(雪嶽山. 1,708m) : 둘째 날, 중청-희운각-공룡능선-마등령-비선대. 공룡능선(恐龍稜線) : 공룡능선은 백두대간에 자리한 설악산 정상의 북쪽에 있는 마등령에서 시작하여 남쪽 신선암까지 이르는 약 5.1km의 능선을 말하며, 내설악과 외설악을 가르는 중심 능선으로, 2013년 3월 11일에 명승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공룡능선이라는 이름은 연속되어 있는 암석 봉우리들이 마치 공룡의 등같이 생긴 데서 유래하였습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공룡릉(恐龍稜)이라고도 불리며, 이 능선은 영동지방과 영서지방을 나누는 분기점이 되기도 합니다. 공룡능선이 자리하고 있는 설악산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대보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돌산입니다. 또한 능선이 매우 가파르기 때문에 평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동해에서 유입된 많은 양의 수증기는 공룡능선에서 찬 공기를 만나 구름이 되고, 이렇게 만들어진 구.. 더보기
설악산(雪嶽山. 1,708m) : 첫째 날, 한계령-서북능선-끝청봉-중청봉-대청봉. 설악산(雪嶽山. 1,708m) : 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산. 높이 1,708m로 우리나라에서 3번째로 높은 산입니다. 신성하고 숭고한 산이란 뜻으로 설산(雪山)·설봉산(雪峯山)이라고도 합니다. 음력 8월 한가위에 덮이기 시작하는 눈이 하지에 이르러야 녹는다 하여 설악이라 하였고, 대청봉을 중심으로 북쪽의 미시령과 남쪽의 점봉산을 잇는 주능선을 경계로 하여 동쪽을 외설악, 서쪽을 내설악이라 부릅니다. 또한 북동쪽의 화채봉과 서쪽의 귀때기청을 잇는 능선을 중심으로 남쪽은 남설악, 북쪽은 북설악이라 합니다. 내설악은 기암절벽과 깊은 계곡이 많으며, 명소로는 백담사·수렴동계곡·대승폭포·와룡폭포·옥녀탕 등이 있습니다. 외설악은 첨봉이 높이 솟아 있고, 암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맑은 물이 계곡마다 폭포를 이루며, 울.. 더보기
덕항산 (德項山 1,072.9m) : 강원도 태백시 하사미동, 삼척시 신기면. 덕항산 (德項山, 덕메기산) : 행정구역상으로는 삼척시와 태백시에 걸쳐 있으며 백두대간의 줄기로서 북으로 청옥산과 두타산이, 남으로는 함백산과 태백산과 같은 아고산에 해당하는 산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높이 1,072.9m입니다. 덕항산은 덕메기산으로도 불립니다. 덕항산 정상 능선에서는 산이 깊고 수목이 울창하다 보니 조망이 없어 딱히 볼 만한 경치는 없는 게 아쉽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해발고도 1,000m에 가까운 고산지대에 발달한 카르스트(석회암벽) 지형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북쪽 사면에는 천연기념물 제178호인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가 있어 연중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습니다.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는 우리나라 최대의 동굴지대로 환선굴(幻仙窟)·관음굴(觀音窟) 등 웅장하고 아름다운 석회동굴들이 .. 더보기
수락산(水落山) - 도정봉(526m) : 의정부시 장암동, 송산1동 경계 2022년 4월 수락산 주봉 정상석, 기차바위 안전로프와 함께 사라진 도정봉 정상석은 그 훼손 한 범인을 검거하여 수락산 주봉 정상석은 파손된 채로 찾았으나 도정봉 정상석은 아직도 행방이 묘연하고 그 자리에는 도정봉 이정표가 정상석을 대신하여 여기가 도정봉임을 알려주고 있습니다.2022년 6월 현재 남양주시 구역인 수락산 주봉 정상석은 복원되었으나 의정부시 구역인 기차바위와 도정봉은 기차바위에는 안전 문제로 안전로프가 다시 설치됐으나 도정봉 정상석은 예전에 누가 설치했는지도 모르고 사유지이며 그동안 의정부시에서 관리하지를 않았었고, 그런 이유로 도정봉 정상석을 다시 설치할 계획이 없다고 합니다.  수락산(水落山, 637m) : 서울 노원구 상계동, 의정부시 장암동, 송산동, 남양주시 별내면에 걸쳐 있는 .. 더보기
내장산(內藏山, 763.5m) : 전라북도 정읍시, 순창군, 전라남도 장성군. 내장산(內藏山) : 높이 763.5m. 전라북도 정읍시, 순창군, 전라남도 장성군 소재. 지형적으로는 강원도 등줄기를 타고 내려오던 백두대간이 태백 금대봉에서 내륙으로 이어져 내려오다 장수 장안산에서 호남정맥을 이루며 뻗어 내려온 노령산맥의 중앙에 솟아있으며, 목포 유달산까지 이어지는 영산기맥의 시작 지점입니다. 호남 5대의 명산 중 하나이자 한국을 대표하는 8경 중 하나로 손꼽히는 곳으로 1971년 우리나라 8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80.708k㎡입니다. 신선봉(763m)을 주봉으로 하는 내장산은 봉우리들의 높이가 700m 내외지만 봉우리 정상이 저마다 독특한 기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예로부터‘호남의 금강’이라 불립니다. 내장산은 원래 본사인 영은사의 이름을 따서 영은산(靈隱山)으로 불리.. 더보기
공작산(孔雀山, 887.4 m)과 수타사(壽陀寺) :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동면. 공작산(孔雀山, 887.4 m) : 행정구역상 위치 -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영귀미면, 동면에 위치. 꼭대기에서부터 뻗어나간 능선이 마치 공작의 날개처럼 펼쳐져 있다 하여 공작산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정상에서 바라보면 홍천군 일원이 한눈에 들어오며, 풍치가 아름답고 깎아 세운 듯한 암벽이 장관을 이루는 곳입니다. 정상에서 서남쪽 능선 약 6km 아래에 있는 수타사와 노천리까지 이어지는 약 8km의 수타계곡은 갖가지 멋진 바위들과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수타사(壽陀寺) : 강원도 홍천군 영귀미면 덕치리.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의 말사입니다. 통일신라 제33대 선덕여왕 7년(708년)에 창건하여 우적산(牛寂山) 일월사(日月寺)라 하였는데 누가 지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창건.. 더보기
북한산 숨은벽 : 북한산 사기막 능선. 그동안 많은 산을 접해봤다고는 하지만, 남들처럼 백두대간이나 정맥종주를, 혹은 100대 산 도전을 했다는 등의 내세울만한 것은 없어도 몇 안 되는 다녀본 산중에서 이유야 여러 가지겠지만 특별히 생각나고 애착이 가는 산이 몇 있습니다. 본인에게는 북한산 숨은벽이 그 중에 하나입니다. 산에 대한 경험도 별로 없던 시절 숨은벽이라는 이름을 처음 접해보고, 그 숨은벽을 가보려 했으나 들머리를 못 찾아 헤매기도 했고, 어렵사리 능선을 올라 바라본 주변의 광활한 풍경과 마치 사자의 날카로운 송곳니를 닮은 숨은벽을 발견했을 때, 그 기쁨과 희열이 아직도 생생해서 마치 숨겨놓은 애인을 찾아가듯 홀로 찾은 기억도 여러 번이었던 숨은벽 입니다. 사기막(숨은벽)능선을 넘어 해골바위 부근에서 정상 부위를 바라보면 인수봉과 백.. 더보기
오봉산(五峰山, 779m) :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화천군 간동면. 오봉산(五峰山, 779m) :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과 화천군 간동면 경계에 있는 산. 도솔지맥 하단에 위치. 도솔지맥은 휴전선 이북 백두대간 매자봉에서 남서로 뻗어 도솔산(1148m)과 대암산(1309m)을 만들고 계속 뻗어 사명산(1198m)을 빚은 이곳 부용산(882m)과 오봉산(779m)을 만들고 춘천 우두산에서 끝을 맺습니다. 오봉산은 5개의 암봉이 줄지어 있어 오봉산이라 하며, 경운산이라고도 합니다. 백치고개를 사이에 두고 부용산(882m)과 마주 보고 있으며, 주위에 봉화산·수리봉 등이 있습니다. 산의 정상에서 산 중턱까지 급경사를 이루며, 남쪽 사면에서 발원한 계류는 청평사계곡을 이루며 소양호로 흘러듭니다. 오봉산 주변에는 청평사와 구성폭포, 공주탕, 공주굴 등이 있습니다. 청평사(淸平寺) .. 더보기